최근 한국인의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2025년 7월까지 약 778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요.😨

특히 휴대전화 번호와 주민등록 번호, 계정 정보는 해커들이 가장 노리는 대상이자 보이스피싱·스팸·사기 피해로 이어지는 핵심 정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인의 개인정보 유출 TOP3와 예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1. 2025 한국인의 개인정보 유출 현황

① 전체 유출 규모

2025년 7월까지 한국인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약 778만 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4년 총 1,011만 건에서 불과 반년 만에 근접한 수치로,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② 주요 원인

대부분의 유출 원인은 해킹으로 분석되었습니다. A협의회(135만 건), B교육 플랫폼(100만 건), C대학교(32만 건) 등 다양한 기관에서 보안 취약점을 통해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유출되었습니다.

③ 피해 심각성

유출된 개인정보는 보이스피싱, 스팸 발송, 금융사기, 불법 대출 시도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개인의 경제적·정신적 피해가 크다는 점이 가장 우려됩니다.

2. 가장 많이 유출된 개인정보 TOP3

① 1위: 휴대전화 번호 (7,600건)

휴대전화 번호는 본인 인증, 간편 결제, 사이트 가입 등 거의 모든 온라인 서비스에 사용되는 필수 정보입니다.

  • 이유: 활용 빈도가 높고 노출 기회가 많아 해커들이 가장 먼저 노립니다.
  • 위험: 유출 시 스팸,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이어져 2차 피해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2위: 주민등록 번호 (3,900건)

주민등록 번호는 신원 확인과 금융 거래에 직접적으로 연계됩니다.

  • 이유: 대출, 계좌 개설, 통신 서비스 가입 등에 악용됩니다.
  • 위험: 주민등록 번호 유출은 금융 사기, 대포 통장 개설 등 심각한 범죄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③ 3위: 계정 정보 (900건)

이메일·SNS·쇼핑몰 계정 정보가 해킹될 경우, 다양한 피해의 시작점이 됩니다.

  • 이유: 이메일과 비밀번호가 유출되면 다른 사이트로의 도미노 해킹이 가능해집니다.
  • 위험: SNS 해킹, 불법 결제, 명의 도용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유형

①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휴대전화 번호가 유출되면 사칭 전화와 문자가 쏟아지며, 금융정보를 빼내는 보이스피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② 불법 금융 거래

주민등록 번호와 계정 정보가 결합될 경우, 대출 시도·대포 통장 개설 등 심각한 금융 범죄로 이어집니다.

③ 스팸·사기 메시지

의심 링크를 포함한 문자·이메일이 증가하여, 클릭 시 추가 개인 정보가 탈취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④ 명의 도용

계정 정보가 유출되면 SNS 계정 도용은 물론, 온라인 쇼핑몰에서 불법 결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내 개인정보를 지키는 보안 습관

① 수시로 비밀번호 변경하기

동일한 비밀번호를 여러 사이트에서 사용하지 말고, 3개월에 한 번 이상 교체하세요.

② 앱 권한 최소화하기

불필요한 접근 권한은 거부하고, 꼭 필요한 앱만 설치하세요.

③ 의심 링크와 메시지 주의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나 첨부파일은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④ 불필요한 개인정보 제공 금지

이벤트 참여, 설문조사 등에서 불필요한 개인정보 입력은 최소화하세요.

⑤ 비밀번호 관리 앱 활용하기

비밀번호를 직접 기억하다 보면 자꾸 같은 패턴을 쓰게 되거나, 보안성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이럴 때는 비밀번호 관리 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이런 앱은 복잡하고 강력한 비밀번호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고, 안전하게 저장하며 필요할 때 자동 입력까지 지원합니다.

  • 라스트패스(LastPass): 다양한 기기에서 동기화 가능, 자동 로그인 지원
  • 비트워든(Bitwarden): 무료 기능이 강력한 오픈소스 앱, 무제한 기기 동기화
  • 1패스워드(1Password): 가족이나 팀 단위 계정 공유 기능 탁월
  • 노드패스(NordPass): 최신 암호화 기술 적용,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 제공

이와 함께 이중 인증(2FA)을 반드시 설정하면 해킹 시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관리 앱은 단순한 편의 기능을 넘어, 개인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강력한 보안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들어 한국인의 개인정보 유출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휴대전화 번호, 주민등록 번호, 계정 정보는 해커들이 집중적으로 노리는 대상입니다. 

개인정보 유출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보이스피싱과 금융 사기 등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비밀번호 관리, 앱 권한 최소화, 의심 링크 차단, 개인정보 최소 제공과 같은 생활 속 보안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작은 실천이 내 소중한 정보를 지키는 첫걸음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