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과 재산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금 바로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확인해보세요.
계산표와 예시로 쉽게 알려드립니다.
1. 얼마나 받는지, 소득에 따라 금액이 달라져요
정부는 이번 소비쿠폰을 보편지원 + 선별지원 방식으로 지급해요.
따라서 전 국민이 받긴 하지만, 소득 수준에 따라 1인당 15만 원부터 최대 52만 원까지 차등 지급돼요.
구분 | 1인당 지원금 | 기준 요약 |
---|---|---|
상위 10% | 15만 원 | 월 건강보험료 기준 상위 10% 이상 |
일반 국민 | 25만 원 | 대부분의 국민 (약 4,296만 명) |
차상위계층 | 40만 원 | 소득 하위층 중 기초수급 미해당자 |
기초생활수급자 | 50만 원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인구감소지역 | +2만 원 추가 | 경북 봉화, 인천 옹진 등 89개 지역 주민 ※ 기본 지원금에 추가로 지급 |
※ 미성년자도 지급 대상이며, 보호자가 대신 수령
※ 장기 해외 체류자 등 일부 제외 가능성 있음
2. [계산기] 우리 집은 얼마 받을 수 있을까?
🔍 Step 1: 건강보험료 확인하기
📌 아래 중 하나로 확인 가능해요
직장가입자: 월급명세서 또는 국민건강보험 앱
지역가입자: 국세청 홈택스 또는 건강보험공단
🔍 Step 2: 아래 표와 비교하기
※ 기준은 4인 가구 기준 건강보험료입니다. (가구원 수 따라 달라짐)
💰 월 건강보험료 기준 지원금 안내
월 건강보험료 (4인 기준) |
소득 계층 구분 | 예상 지급액 |
---|---|---|
약 35만 원 이상 | 상위 10% | 15만 원 |
약 10만~35만 원 | 일반 국민 | 25만 원 |
약 5만~10만 원 | 차상위계층 (추정) | 40만 원 |
약 0~5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 50만 원 |
💡 가족 수가 다를 경우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보험료 부과 기준표’를 참조하세요.
3. 예시로 보는 우리 집 상황 (쉽게 풀어봤어요)
① 직장 다니는 50대 부부 + 대학생 자녀 2명 (4인가구)
남편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건보료가 23만 원이라면 → 일반 국민: 25만 원
② 부모님 두 분만 거주, 기초연금 수령 중 (2인가구)
보험료가 면제거나 3만 원 이하라면 → 기초생활수급자: 50만 원
③ 자영업자 1인 가구, 월 건강보험료 8만 원
→ 차상위계층: 40만 원
④ 인구감소지역(예: 강원도 정선군) 거주자
해당 기준 충족 시 +2만 원 추가로 받음
4. 소비쿠폰, 어떻게 받고 어디서 써야 하나요?
- 지급 시기 : 7월 중순 예상 (6월 23일 추경안 제출 → 7월 초 통과 후 지급)
- 지급 방식 : 선택 가능 →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 유효기간 : 지급일로부터 4개월 내 사용 → 이후 미사용 시 소멸됨
- 사용처 : 대형마트, 동네가게, 병원, 약국 등 가맹점만 가능, 온라인 쇼핑몰은 대부분 제한됨
마무리하며
“이번에 우리는 얼마나 받을 수 있지?”
이렇게 궁금하셨다면 오늘 확인한 기준으로 얼추 감이 잡히셨을 거예요.
혹시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들이 잘 모르고 지나치실까 걱정되신다면,
이번 기회에 함께 건강보험료를 확인하고 지원금 신청과 사용 계획을 세워보세요.
받는 것보다 제대로 쓰는 게 더 중요하니까요.